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식투자를 위한 기본적인 투자지표 알기

by ★€※£Ω₡ 2023. 3. 2.

주식을 투자할 때 기업의 재무제표만큼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적인 투자지표들이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는 주식투자를 위해서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투자지표 시가총액, ROE, PER, PBR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가총액  

현재 주식시장에서 어떤 한 기업 전체를 산다고 할 때 총얼마에 주고 살 수 있는지 나타내는 금액이 시가총액이다. 다른 말로 기업이 상장한 모든 주식을 현재 시가로 평가한 총액을 말하는 것입니다. 시가총액의 계산은 당일 종가에 상장주식 수를 곱하여 산출을 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회사가 주식시장에 10,000주를 상장했는데 오늘 주식시장에서 1,500원에 마감을 했다면 A회사의 시가총액은 10,000주 곱하기 1,500원으로 1,500만 원인 것입니다.

 

ROE (Return On Equity)

자신이 산 주식의 회사가 얼마를 투자(자본)해서 얼마를 버는(수익) 회사인지 나타내는 지표가 자본대비수익률(ROE, 예를 들어 상기 시가총액이 1,500만 원인 A회사가 1,000만 원(자본)을 투자해서 100만 원(수익)을 벌어들였다면 10%의 수익을 낸 것이죠. 이것을 어려운 경제용어로 A회사의 ROE10%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PER (Price Earning Ratio)

A회사의 수익이 100만 원, 시가총액이 1,500만 원이면 이 수치는 수익의 15배를 한 것이고 이것을 주가수익비율(Per, Price Earning Ratio)이라는라는 경제용어로 A회사의 PER15이다라고 하는 것입니다. 다시 설명하면 A회사가 주식시장에서 매매되는 가격(주가)이 그 회사 순이익의 몇 배가 되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BR (Prcie Book-value Ration)

A회사의 자본은 1,000만 원이지만 시장에서는 1,500만 원(시가총액)의 가치로 평가했다면 A회사의 자본보다 1.5배 높게 평가를 한 것입니다. 이것을 경제용어로 주가순자산비율 (PBR, Price Book-value Ration)이라고이라고 하고 A회사의 PBR1.5이다라고 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시장에서 매매되는 가격(주가)이 A회사 자본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상 주식투자의 기본이 되는 투자지표를 알아보았습니다. 설명한 투자지표의 의미를 잘 이해하고 투자에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투자 실패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댓글